CC-Link IE TSN 대응제품 개발 흐름
CC-Link IE TSN에 대응하는 제품의 개발 흐름을 소개합니다.
개발 검토 과정
- *※스위치, 케이블, 커넥터 등의 권장배선 부품은 개발 검토 항목이 일부 다릅니다.
- *※「SDK」란, Software Development Kit의 약자입니다.
1. 국 종별 선택
마스터국
네트워크 관리를 수행하는 국. 제어정보(파라미터)를 가지며, 슬레이브국※ 및 타 마스터국을 사이클릭 전송, 트랜젠트 전송으로 제어하는 국.
※슬레이브국:로컬국이나 리모트국 등의 마스터국 이외를 말합니다.
로컬국
마스터국 및 타 로컬국과의 n:n의 사이클릭 전송과 타국과의 1:n 사이클릭 전송이 가능하며, 타국과 트랜젠트 전송이
가능한 국. 트랜젠트 전송에서는 서버 기능과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집니다.
리모트국
타국과의 1:n 사이클릭 전송과 트랜젠트 전송이 가능한 국.
트랜젠트 전송에서는 서버 기능과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집니다.
2. 인증 클래스 선택
- CC-Link IE TSN 네트워크에서는 기기(노드) 및 스위치의 기능・성능에 따라 인증 클래스를 구분하고 있습니다.
- 인증 클래스에는 A와 B가 있으며, B가 고성능입니다.
기기
- 기본적으로는 사용 용도가 넓은 인증 클래스B의 제품 개발을 권장합니다. 단, 기존(TSN 비대응) 제품의 소프트웨어만 변경하고 개발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인증 클래스A로 개발해 주십시오.
- *1 1 포트의 경우:수신, 2포트 이상인 경우 : 수신과 중계
- *2 100Mbps 이상이면 통신 속도는 무관하다
- *3 로컬국의 경우 실장 필수
- *4 시각동기 정도1us를 보증하는 시스템의 경우, 인증 클래스B의 제품만으로 구성한다. 이 경우, 인증 클래스A의 제품(스위치 포함)을 인증 클래스B의 제품 사이에 배치하지 않는다.
스위치
- 동일 클래스의 기기와 스위치를 사용하면 기기와 스위치간의 기능・성능 차이는 발생하지 않습니다.
- * 1000BASE 또는 100BASE의 어느 한쪽 혹은 모두 대응할 것
3. 개발 방법 선택
대응제품의 조기 라인업 확충
전용 ASIC/FPGA로 실장한 고성능 기기부터 범용 이더넷 칩에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(SDK 등)로 실장한 저코스트 기기까지 다양한 타입의 제품 개발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.
각사 제공의 개발 방법을 이용한 개발
- 하드웨어 : 통신 LSI / PC보드 / 임베디드 모듈로 실현
- 소프트웨어 : SDK로 실현
No | 제품 분류 | 종별 | 내용 |
---|---|---|---|
1 | 통신 LSI | 하드웨어 | 공개되는 통신 LSI의 인터페이스 사양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직접 기판에 실장함으로써 CC-Link IE TSN에 대응한다. |
2 | 임베디드 모듈 | 하드웨어 | 사용자 기판과 임베디드형 인터페이스 보드를 범용적인 버스(16bit 패러렐 버스 등)로 접속하여 CC-Link IE TSN에 대응한다. |
3 | PC 보드 | 하드웨어 | PCI나 PCI Express의 인터페이스에 접속하여 CC-Link IE TSN에 대응한다. |
4 | SDK | 소프트웨어 | 공개되는 소프트웨어를 범용 이더넷 통신에 대응하는 기기에 임베디드함으로써 CC-Link IE TSN에 대응한다. |
4. 개발 장소 선택
CC-Link IE TSN 개발 지원 툴 메이커
CC-Link IE TSN 개발 지원 툴을 개발 검토 중인 파트너사 일람
개발방법회사 |
국종별 | 인증 클래스 A or B |
![]() |
![]() |
---|---|---|---|---|
![]() |
마스터/ 로컬국 |
B | ● | |
마스터국 | B | ● | ||
리모트국 | B | ● | ||
A | ● | |||
![]() |
마스터국 | A / B | 발매예정 | |
리모트국 | A | 발매예정 | ||
![]() |
리모트국 | B | ● | |
![]() |
리모트국 | A / B | 발매예정 |
임베디드 모듈, PC 보드는 파트너사에서 검토하고 있습니다.
- *자세한 사항은 CLPA로 문의해 주십시오.
개발 검토 중인 파트너사는 아래와 같습니다.